오늘은 저번 신호위반 범칙금 글에 이어서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해보니 저번 포스팅에서는 조회 방법을 설명하지 않았는데 교통단속 조회방법은 같으니 오늘 포스팅에서 알아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혹시 내가 단속카메라에 찍혔는지 안 찍혔는지 판단이 잘 안 서는 상황이 있었다면 오늘 글을 통해서 정확히 알아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격적인 조회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속도위반 관련 정보 몇 가지를 설명해볼게요.
속도위반 기준
과속의 기준은 뭘까요?라는 궁금증이 생기더라고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100km 단속카메라에서 100km를 조금 넘어도 괜찮다는 것은 알고 있을 거예요. 하지만 그 정확한 기준은 모르는 분들이 많죠. 그래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한속도 | 단속기준 |
60km | 71km |
70km | 85km |
80km | 95km |
90km | 105km |
100km | 122km |
110km | 132km |
한 마디로 제한 속도가 100km인 곳에서는 122km까지는 카메라에 찍히지 않는다는 겁니다. 상당히 범위가 여유롭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도 제한속도를 지키며 운전해야겠죠?
그럼 여기서 또 하나 생기는 궁금증이 왜 이렇게 단속 속도를 여유롭게 만들어 놓았을까요? 이유는 의외로 단순합니다. 사람들의 민원이 많아서 그렇다고 합니다. 즉, 우리 자동차 계기판의 오차 범위와 단속 카메라의 오차 범위를 고려해서 실제 제한속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죠.
속도위반 단속 조회 방법
조회 사이트는 '경찰청교통민원24'라는 이파인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검색을 하셔도 되고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도 됩니다.
페이지의 첫 화면의 위에 캡처와 같습니다. 교통단속과 관련된 모든 내용이 담겨 있는 페이지네요. 여기서 '최근 무인단속내역'이라는 메뉴를 클릭해서 공인인증서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공인인증서만 있다면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은행에서 공인인증서라는 말 대신 공동인증서라고 부르더라고요. 저는 새로 발급받아서 로그인하였습니다.
조회를 누르면 본인이 걸린 단속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조회를 하시는 분들은 본인이 무인카메라에 찍힌 것 같다고 느끼고 3~4일 후에 조회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속도위반 조회는 3~4일 뒤에 적용된다고 하네요.
조회 방법은 생각보다 너무 간단하죠? 그래서 속도위반 관련 추가적인 정보를 더 알아보았어요.
※ 속도위반 벌점 및 벌금
<일반도로>
벌금 | 벌점 | |
20km이내 초과 | 3만원 | 없음 |
20~40km | 6만원 | 15점 |
40~60km | 9만원 | 30점 |
60km이상 초과 | 12만원 | 60점 |
<보호구역> ex) 스쿨존, 실버존
벌금 | 벌점 | |
20km이내 초과 | 6만원 | 15점 |
20~40km | 9만원 | 30점 |
40~60km | 12만원 | 60점 |
60km이상 초과 | 15만원 | 120점 |
위에 표는 승요차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승합차는 일반적으로 만원 정도 더 부과됩니다.
벌점 정보를 조금 알려드리겠습니다. 벌점 40점 이상이면 면허정지가 되고 누산점수 1년 124점 이상, 2년 201점 이상, 3년 27점 이상이면 면허가 취소됩니다.
40점 미만의 벌점인 경우에는 최정 위반일로부터 1년 동안 벌점이 추가되지 않으면 벌점이 소멸됩니다. 또 벌점은 그 해의 위반일로부터 3년간 누산으로 관리됩니다.
※ 속도 측정원리
속도 측정의 원리도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방식 고정식 단속카메라와 구간단속 카메라를 알아보았어요.
1. 고정식 단속카메라
가장 흔한 측정 방법입니다. 위쪽에 카메라가 놓여있고, 도로에 직사각형 모양의 테두리선이 2개 있죠. 가끔씩 속도 측정을 카메라가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카메라는 그냥 촬영 역할만 합니다.
실제로 측정은 도로 안에 묻혀 있는 센서가 하죠. 2개의 직사각형을 통과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속도를 측정합니다. 바로 V(속도)=S(이동거리)/T(시간)의 공식을 이용한 거죠.
2. 구간단속 카메라
구간 단속은 말 그대로 일정한 구간을 지나가면서 속도를 특정하는 겁니다. 여기서도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있는 정보가 있습니다. 이 구간 안에서 평균속도만 지키면 통과할 때는 과속을 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더라고요.
하지만 실제로는 시작 구간, 평균속도, 종료 구간 이 3가지 모두를 단속합니다. 이 중에 하나라도 과속이면 걸리게 되는 거죠.
글을 쓰다 보니 꽤 많은 정보를 담게 되었네요. 아무튼 이렇게 속도위반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우리 모두 방어운전을 생활화해서 단속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해요~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리 알아보는 '퇴직금 계산기' (0) | 2021.01.21 |
---|---|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방법 알아보기 (0) | 2021.01.18 |
2021년 신년운세 무료보기 사이트 (0) | 2021.01.15 |
신호위반 과태료 간단 정리 (0) | 2021.01.12 |
아파트 평수 계산기 알아보기 (0) | 2021.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