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 시장이 많이 불안정합니다. 집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고 있죠. 내 집 마련의 꿈은 점점 더 멀어져 가고 아예 처음부터 수도권은 포기하고 지방 쪽을 알아보는 사람도 적지 않더라고요.
암튼 이렇게 부동산 시장이 불안정하니 사람들은 청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집니다. 저 또한 그렇고요. 그런데 청약에서는 아파트 면적을 전부 제곱미터(㎡)로 표시하더라고요. 우리는 '평'이라는 단위가 더 익숙한데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제곱미터를 '평'으로 바꾸는 평수계산기 사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전에 왜 부동산에서는 면적을 표시할 때 제곱미터를 사용하는지도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단위를 제곱미터(㎡)로 쓰는 이유
이유를 알아보니까 여기도 우리의 아픈 역사가 숨어있더라고요. 땅 넓이를 측정하는 '평'은 일제강점기에 사용되던 국토 측량 단위였습니다. '평'이라는 단위는 2007년 7월 1일 정부의 법정 계량 단위 의무화로 인해 제곱미터(㎡) 단위로 대체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미 사람들에게 익숙한 단위인 '평'이 아직까지도 쓰이고 있는 것이지요.
평수 계산하기
1. 네이버 검색
의외로 굉장히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바로 포털 사이터 검색이죠. 소제목에는 네이버라고 했지만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는 어떤 포털 사이트라도 가능합니다.
네이버에 '평수 계산기'라고 검색하시면 위와 같은 단위 변환기가 맨 위에 나옵니다. 여기서 제곱미터를 평으로 바꾸는 필터를 적용하시고, 알고 싶은 면적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 핸드폰 계산기
그다음은 굳이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입니다. 스마트 폰의 계산기에도 평수를 계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저는 갤럭시 폰을 이용해서 아이폰에는 이 기능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계산기 어플을 실행하셔서 면적 탭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역시나 제곱미터를 평으로 바꾸는 필터를 적용시킵니다. 굳이 인터넷에 검색할 필요 없으니 이게 훨씬 쉬운 방법이 되겠네요. 위에 계산에 따르면 1제곱미터의 값은
1㎡ = 0.3025평
1평 = 3.305785㎡
이렇게 나오죠. 여기서 1평은 대략 3.3㎡라는 것을 알고 있을 때 적용할 수 있는 평수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빠르게 머릿속으로 계산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한 평수 계산법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요. 만약에 114㎡의 크기를 평수로 계산한다고 하면 일의 자릿수를 제외하고 곱하기 3을 해주면 됩니다. 정리하면
114에서 4를 제외 = 11
11에 3을 곱한다
11 X 3 = 33평
물론 정확하게 계산하면 34평이라고 하는 게 맞지만 대략적으로 본다면 어느 정도 근사한 값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청약에서 많이 사용하는 아파트 전용면적을 알려드릴게요. 사실 부동산 쪽으로 자주 보시다 보면 따로 계산할 필요도 없이 보자마자 대략 몇 평인지가 나올 거예요. 매번 쓰이는 면적들이 있기 때문이죠.
<자주 쓰이는 면적㎡>
59㎡ = 17평
74㎡ = 22평
84㎡ = 25평
96㎡ = 29평
114㎡ = 34평
128㎡ = 38평
오늘은 평수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저도 '평'이라는 단위가 일제시대의 잔재라는 것을 처음 알았네요. 앞으로는 제곱미터 단위를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신년운세 무료보기 사이트 (0) | 2021.01.15 |
---|---|
신호위반 과태료 간단 정리 (0) | 2021.01.12 |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하는 방법 2가지 알아보기 (0) | 2021.01.09 |
너무 쉬운 카카오톡 PC버전 다운로드 방법 (0) | 2021.01.07 |
블루스택 다운로드 및 기능 알아보기 (0) | 2021.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