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방법 알아보기

by ◆파란사과◆ 2021. 1. 24.

오늘은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들 건강검진은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는 것 다 알고 있을 거예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국가 의료혜택이죠. 미래에 생길 수도 있는 질병을 예상하기 위해 건강검진에 성실한 참여는 필수입니다.

 


기본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시기는 출생연도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정해집니다. 올해 2021년은 홀수년도 이신 분들이 그 대상에 해당되겠네요.

 

대상자 조회 방법

일단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pc로도 할 수 있지만 모방일에서도 어플을 다운로드하여서 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건강검진대상자 조회하러 가기>>

 

 

페이지에 접속했다면 위 사진의 파란 박스 표시해놓은 '건강검진 대상조회'를 클릭합니다.

 

 

본인의 공동 인증서를 이용해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로그인 시에는 인증서 등록을 해야 로그인이 되더라고요. 최초 1회만 인증하면 됩니다. 간단하게 할 수 있으니 따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본인의 검진년도가 나옵니다. 저는 짝수 연도에 태어났지만 회사를 다니다 보니 매년 검진을 받기 때문에 2021년도로 뜨는 것 같네요.

 

저는 아직 나이가 어려서 암검진 항목은 없습니다. 암 검진에는 종류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장 압니다 자궁경부암, 폐암은 본인부담금이 없지만, 위, 유방암, 간암의 경우에는 건간보험공단에서 90%를 지불하고 10%는 본인부담금이 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검진 받을 병원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위 캡처의 '검진기관 찾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지역의 시와 군구를 입력하시면 위 사진과 같이 네이버 지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본인 공동 인증서만 있으면 쉽고 간단하게 대상자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건강검진에 가장 신경써야 할 연령대가 40대~70대까지이죠. 이때부터 일반적인 검사와 더불어 암 검진이나 각종 혈액검사를 통해 고열합이나 당뇨 등을 알아 수 있는 검사를 추가적으로 받게 됩니다. 추가적인 검진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인부담금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회사 생활을 하자보니까 직장 건강검진 대상자인데요. 사무직으로 일하는 분들은 2년에 1회 검진을 받는데, 저는 비사무직이라 1년 1회로 검사를 받고 있습니다.

 

혹시 모를 나중에 질병에 걸렸을 때 나오는 큰 진료비를 피하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본인의 건강을 지키는 첫 단계인 건강검진을 잘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나 요즘 같은 때에 아프면 정말 힘들더라고요. 오늘 글을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