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든 2020년을 보내고 2021년을 맞이 하면서 가장 기대하는 게 있다면, 직장인이라면 당연히 연봉 인상이라고 말할 것 같네요. 저도 회사를 다니지만 조금이라도 연봉이 오르면 금액적으로는 별거 아닐지라도 굉장히 기분이 좋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2021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았습니다.
4대보험 알기
실수령액을 알기 전에 내 연봉에서 세금이 얼마나 빠져나가는지는 알아야겠죠. 올해는 세금이 얼마나 올랐는지 확인 살펴보세요. 2021년 4대 보험 요율을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율(%) | |
국민보험 | 4.5% |
건강보험 | 3.43% |
장기보험 | 11.52% |
고용보험 | 0.8% |
다들 아시겠지만 4대보험은 회사와 개인이 50대 50의 비율로 내는 것입니다. 2020년도 비교하여 알아보니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은 약간 상승하고,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은 동결로 오르지 않았더라고요. 이제 바로 실수령액 알아보겠습니다.
2000 ~ 3900만원
2000만원 | 1,513,057 | 3000만원 | 2248340 |
2100만원 | 1,594,790 | 3100만원 | 2,316,813 |
2200만원 | 1,669,043 | 3200만원 | 2,384,897 |
2300만원 | 1,743,297 | 3300만원 | 2,451,470 |
2400만원 | 1,817,310 | 3400만원 | 2,515,923 |
2500만원 | 1,890,463 | 3500만원 | 2,580,347 |
2600만원 | 1,963,597 | 3600만원 | 2,656,670 |
2700만원 | 2,036,710 | 3700만원 | 2,723,873 |
2800만원 | 2,109,853 | 3800만원 | 2,788,287 |
2900만원 | 2,179,917 | 3900만원 | 2,852,700 |
4000 ~ 4900만 원
4000만원 | 2,917,113 | 4500만원 | 3,239,180 |
4100만원 | 2,981,527 | 4600만원 | 3,303,593 |
4200만원 | 3,045,940 | 4700만원 | 3,368,007 |
4300만원 | 3,110,353 | 4800만원 | 3,432,420 |
4400만원 | 3,174,767 | 4900만원 | 3,496,833 |
5000 ~ 5900만 원
5000만원 | 3,561,247 | 5500만원 | 3,883,313 |
5100만원 | 3,625,660 | 5600만원 | 3,947,727 |
5200만원 | 3,690,073 | 5700만원 | 4,012,140 |
5300만원 | 3,754,487 | 5800만원 | 4,076,553 |
5400만원 | 3,818,900 | 5900만원 | 4,140,967 |
6000 ~ 6900만 원
6000만원 | 4,205,380 | 6500만원 | 4,527,447 |
6100만원 | 4,269,793 | 6600만원 | 4,591,860 |
6200만원 | 4,334,207 | 6700만원 | 4,656,273 |
6300만원 | 4,398,620 | 6800만원 | 4,720,687 |
6400만원 | 4,463,033 | 6900만원 | 4,785,100 |
7000 ~ 8900만 원
7000만원 | 4,849,513 | 8000만원 | 5,493,647 |
7100만원 | 4,913,927 | 8100만원 | 5,558,060 |
7200만원 | 4,978,340 | 8200만원 | 5,622,473 |
7300만원 | 5,042,753 | 8300만원 | 5,686,887 |
7400만원 | 5,107,167 | 8400만원 | 5,751,300 |
7500만원 | 5,171,580 | 8500만원 | 5,815,713 |
7600만원 | 5,235,993 | 8600만원 | 5,880,127 |
7700만원 | 5,300,407 | 8700만원 | 5,944,540 |
7800만원 | 5,364,820 | 8800만원 | 6,008,953 |
7900만원 | 5,429,233 | 8900만원 | 6,073,367 |
9000 ~ 10000만 원
9000만원 | 6,137,780 | 9600만원 | 6,524,260 |
9100만원 | 6,202,193 | 9700만원 | 6,588,673 |
9200만원 | 6,266,607 | 9800만원 | 6,653,087 |
9300만원 | 6,331,020 | 9900만원 | 6,717,500 |
9400만원 | 6,395,433 | 10000만원 | 6,781,913 |
9500만원 | 6,459,847 | - | - |
사진으로 잘 안보일까 봐 밑에 표로 연봉과 실수령액만 나오는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정리하다 보니 새삼 세금을 정말 많이 떼 가는구나라는 게 느껴지네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내 연봉이 백만 원 단위로 딱딱 끊어지면 위에 표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을 거예요, 저 또한 그렇고요. 그럴 때는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연봉계산기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굉장히 많습니다. 저는 그냥 간편하게 네이버를 이용합니다. 어디에서 이용하든지 다 똑같더라고요.
1. 네이버에 '2021 연봉 계산기' 검색
2. 연봉,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등을 입력
3. '계산하기' 클릭
오늘도 간단하게 2021 연봉 실수령액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알아보면서도 저의 연봉과의 금액차이에 큰 자괴감이 드네요. 우리 모두 높은 연봉과 또 다른 높은 수익(?)을 위해 파이팅합시다!!! 오늘 글도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 알아보기 (0) | 2021.02.04 |
---|---|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간단히 조회 (0) | 2021.01.30 |
2021 군인 월급 알아보기 (0) | 2021.01.27 |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방법 알아보기 (0) | 2021.01.24 |
미리 알아보는 '퇴직금 계산기'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