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dwig Boltzmann(1844 ~ 1906)은 비엔나에서 태어나서 그곳에서 대학을 다녔다. 그 후 그는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여러 기관을 몇년마다 옮겨 다니며 강의를 하욨으며, 또 실험 및 이론 연구를 수행하였다. Boltzmann은 물리뿐만아니라 시 ,음악 그리고 여행에도 흥미를 가졌다. 그는 미국을 세 번이나 방문했는데, 그 당시로는 특이한 일이었다.
Boltzmannn의 물리에 대한 많은 기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Maxxwell과는 독립적으로 개발한 가스 운동에 대한 이롼과, 그가 확고한 기초를 세운 통계 역학의 개발이다.
가스 분자의 평균 에너지 식인 식 3/2kT에 나오는 k는 가스의 분자 분포에 대한 그의 업적을 기려서 그의 이름이 붙었다. 1884년에는, 그의 스승 중의 한 분이였던 Josef Stefan이 5년 전ㅇ 실험적으로 발견하였던 흑체의 복사율을 결정하는 식을 열역학적 고려로부터 이끌어내었다. 그의 주요한 업적 중 하나는 열역학의 제 2법칙을 질서와 무질서도의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다. 힌 계의 엔트로피와 그 계가 그 상태에 있을 확률을 연관 지어주는 공식인 S=k log W 가 Viemma에 있는 그의 묘비에 새겨져 있다.
Boltzmann은 물질의 원자 이론에서도 챔피언이었는데, 이 이론은 그때까지 원자와 분자의 존재에 대한 등거가 간접적인 것 밖에 없어서 19세기 후반까지도 논쟁거리로 남아 있었다. 믿지 않는 과학자들과의 논쟁으로 크게 낭패를 당해 후년에 가서 천식, 두통 그리고 시력으 저하가 그의 정신을 쇠약하게 만들었다. Albert Einstein이 원자 이론의 정당성에 남아 있었던 의문을 납득시키는 브라운운동(brownian motion)에 댜한 논문을 발표한지 얼마 되지 않은 1906년에 자살을 하였다.
원자 실체에 대한 의문을 표시하는 자에 대한 자포자기적인 심정을 Boltzmann 혼자만이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Plank는 극도의 비관론에 몰려 있었다. "새로운 과학적 진실은 반대자를 납득시켜서 광명을 찾게 함으로서 승리하는 것이 아니고, 반대자가 언젠가는 죽고 새로운 과학에 익숙한 새로운 세대가 자리남으호서 승리한다."
'위대한 과학자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윌리엄 스트럿(Lord Rayleigh) (0) | 2020.09.20 |
---|---|
폴 디렉(Paul A. M. Dirac) (0) | 2020.09.20 |
도러시 호지킨(Dorothy Crowfoot Hodgkin) (0) | 2020.09.19 |
라이너스 폴링(Linus Pauling) (0) | 2020.09.18 |
멘델레프(Dmitri Mendeleev) (0) | 2020.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