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착한운전 마일리지, 운전 점수 받기

by ◆파란사과◆ 2021. 5. 12.

오늘은 착한운전 마일리지 제도를 알아보았습니다. 평소에 운전을 많이 하시는 분들이라면 나도 모르게 받는 벌점들이 꽤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운전습관이 나름 좋다고 생각하는데 피치 못한 상황에서 받을 때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렇게 쌓인 벌점들로 혹시나 처분은 받을 수도 있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게 바로 착한운전 마일리지입니다.

 

 

착한운전 마일리지란?

 

신청자가 교통법규 위반 및 무사고 서약을 접수 후에 1년 동안 잘 지킬 시에 마일리지 점수를 받아서 운전면허 벌점으로 인한 정지나 취소처분을 받았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 점수입니다.

 


운전이라는 게 처음에 어떤 식으로 익숙해지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습관이 바르게 들면 좋겠지만 안 그런 사람들이라면 크고 작은 벌점이 쌓일 수밖에 없죠.

벌점이라는 게 교통 법규를 준수하라는 의미에서 만들어지긴 했지만, 그 효과가 오래가진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좋은 영향력으로 교통 법규 준수를 퍼 트리기 위한 제도가 착한운전 마일리지라고 생각합니다.

 

신청 방법

 

신청방법을 알기 전에 기준 다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교통법규 준수 서약을 한 후 1년 동안 무위반, 무사고를 이행시에 운전면허 특혜점수로 10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혜점수를 가지고 있다면 운전자가 벌점 누적으로 인한 처분을 받았을 때 이 점수로 공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신청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이파인 홈페이지

이파인이라고 불리는 '경찰청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착한운전 마일리지

홈페이제에 접속했으면 우측에 있는 메뉴 중에 '착한운전 마일리지'를 클릭하여 들어가 줍니다.

 

 

3. 공인인증서 로그인

로그인을 해주세요. 저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했지만 여러분은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하시면 됩니다. 

 

 

4. 신청

로그인을 하시면 위에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름과 생년월일 면허번호까지 확인하셨으면 서약자 옆에 있는 '신청 버튼을 클릭하시면 끝입니다.

 

그전에 서약기간과 서약자 준수사항, 성공 혜택까지 간단하게 확인해보세요.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게 간편하긴 하지만, 연세가 있으신 어르신분들은 아무래도 직접 방문하여 신청하는 게 편하실 수도 있습니다.

직접 경찰서나 지구대, 파출소 등에 신분증 지참 후 방문하시면 오프라인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그리고 혹시라도 20.09.25 이후에 범칙금, 과태료 미납금이 있으신 분들은 신청이 불가합니다. 그러니 본인의 미납금을 확인해보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조회 역시 이파인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서약 후 사고가 발생한다면?>
만약 신청 후에 피치 못하게 사고나 벌점 등을 받는다면 그 날 이 후로 서약은 파기됩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부터 다시 신청이 가능하니 마일리지가 꼭 필요하신 분들은 바로 신청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