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보건증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저도 예전에 알바할때 보건소에서 한 번 받은 기억이 있는데 보건소 방문하는 게 귀찮더라고요. 요즘에는 보건증도 인터넷으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바로 알아보시죠.
보건증이란?
우선 식품위생법에 따라 설명을 하면,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9조(건강진단 대상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채취, 제조, 가공, 조리, 저장, 운반 또는 판매하는 일에 직접 종사하는 영업자 및 종원원은 영업 시작 전 또는 영업에 종사하기 전에 미리 건강진단을 받고 보건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다른 말로는 '건강진단결과서'하고 말합니다.
보건증은 업종에 따라 유효기간이 다른데 밑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일반 요식업 : 1년
학교 급식 관계자 : 6개월
유흥종사자 : 3개월
검사항목으로는 폐결핵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장티푸스 검사가 있습니다. 검사 실시 후 5~7일 정도의 처리기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보건증에도 당연히 발급 비용이 있습니다. 각각의 기관마다 비용이 다르니 아래에 간단하게 정리해 볼게요.
보건소 : 3,000원
발급 병원 : 20,000 ~ 40,000원
(병원마다 상이)
한국건강관리협회 : 12,000원
대한산업보건협회 : 12,000원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검사를 위해서는 보건소를 방문해야 하나, 최근에는 코로나 때문에 보건소에서 보건증 검사를 중단하고, 일부 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보건소를 방문 시에는 꼭 미리 전화를 해보고 방문하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을 설명해 볼게요.
먼저 공공보건 포털 G-health 사이트(온라인 민원서비스)를 검색하여 들어가 주세요. 그 후 사이트 우측 메뉴의 [증명서 발급]을 클릭해 줍니다.
개인정보 수집을 모두 동의해주세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4가지의 [본인 인증] 방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본인 확인을 해주면 됩니다.
그 후에 과정은 정말 간단하니 바로 아실 수 있을 겁니다.
G-health 사이트에서는 보건증 말고도 건강과 관련된 다른 증명서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건강진단서(국문, 영문), 채용신체 검사서, 예방접종증명서(국문, 영문), 진료비 납입 증명서 등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건증 검사 신청 시에는 신분증은 필수로 필요한 거 아시죠?? 꼭 챙겨가셔야 합니다. 오늘도 간단하게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랍니다. 오늘 글도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공휴일 확대 추진, 공휴일 4일 추가? (0) | 2021.06.17 |
---|---|
국토해양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매우 간단!!! (0) | 2021.06.15 |
신용등급 점수표 확인 및 신용조회 (0) | 2021.06.11 |
5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 및 방향성 알아보기 (0) | 2021.06.05 |
미국 다우지수 실시간 확인방법 및 개장시간 (0) | 2021.06.03 |
댓글